[전영태의 한자성어] 양질호피(羊質虎皮)◈.양의 몸에 호랑이 가죽을 걸치다.
|
[영암군민일보/전영태 기자] 양질호피(羊質虎皮)은 羊 (양 양), 質 (바탕 질), 虎 (범 호), 皮 (가죽 피)의 한 자 음과 뜻으로 되어 있으며, 양의 몸에 호랑이 가죽을 걸치다의 한자성어다.
『중국 한(漢)나라 때 양웅(揚雄)이 지은 <법언(法言)>에서 유래되었다. <법언>은 <논어(論語)>의 문체를 모방한 일종의 수상록으로, ‘오자(吾子)’ 편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혹자가 묻기를 '어떤 사람이 공자의 문하에 들어가 그 안채에 올라 공자의 책상에 엎드리고 공자의 옷을 입는다면 그 사람은 공자라고 할 수 있습니까?'라고 하니, 그 무늬는 그렇지만 그 바탕은 아니다'라고 대답하였다. 혹자가 다시 '바탕이란 무엇을 말하는지요'라고 물으니, '양은 그 몸에 호랑이 가죽을 씌어 놓아도 풀을 보면 좋아라 뜯어 먹고, 승냥이를 만나면 두려워 떨며 자신이 호랑이 가죽을 뒤집어쓴 사실을 잊어 버린다(羊質而虎皮, 見草而說, 見豺而戰, 忘其皮之虎矣)'라고 대답하였다."
양이 호랑이 가죽을 뒤집어써서 겉으로는 호랑이처럼 보일지라도 호랑이의 바탕(본질)까지 갖추지는 못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호랑이 가죽을 쓰고서도 예전처럼 풀을 뜯어 먹으며, 다른 짐승의 눈에는 자신이 호랑이로 보인다는 사실을 잊어버린 채 승냥이를 만나면 예전처럼 무서워하며 벌벌 떤다는 것이다.
여기서 유래하여 양질호피는 겉모습은 화려하지만 그에 걸맞은 실력이나 실속은 갖추고 있지 못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되는데, 우리나라 속담의 '빛 좋은 개살구'와 그 의미가 통한다. 또 양의 본질을 바꾸지 못한 채 호랑이 가죽을 뒤집어쓴다고 해서 호랑이가 될 수 없듯이, 본질이 바뀌지 않는 한 변화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로도 사용된다.』